-
처음 뉴스로 소식을 접했을 당시에는 어리석게도 얼마나 참담한 사고인지가 가슴에 와닿지 않았습니다. 그러나 거듭해 보고되는 사망자 수와 단원고 학생들의 사연, 그리고 사고의 진상을 알아가자 비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 저 또한 학생의 신분이었기에 매일을 공부에 전념하느라 지친 하루 속에서 친구들과의 추억을 쌓기 위한 여행이 슬픔의 기억으로 남는 것의 고통이... 그 고통을 알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저의 오만일 것입니다. 다만 상상 이상의 고통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. 단원고 학생들뿐만이 아니라 끝까지 승객들을 위하셨던 승무원 분들과 다른 탑승자들, 그리고 그들의 유가족분들에게도 고통의 순간이었겠죠. 잊지 않겠습니다. 계속 기억하겠습니다.
-
고등학생이면 꽤 어른인 줄 알았던 나.. 지금 고등학생이 되보니 너무나도 어린나이...평생 잊지않겠습니다. .언니오빠들 하늘에서 편히 쉬세요.
-
저는 초등학교에 있었던 그날, 어의 없는 대처로 인해 피워보지도 못한 피기 직전의 가장 아름다운 생명들을 빼앗긴 그날. 절대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.
-
세월호 안에 7시간 동안 있었던 걸 보면 엄청 슬픕니다. 절대 4월16일을 잊지 않겠습니다.
-
잊을 수 없는 그 날, 잊어서는 안되는 그 날.2014년 4월 16일. 그 날의 아픔을 기억합니다.부디 하늘 위에서는 행복하기를...
-
딱 이맘때 14년의 봄은 너무도 춥고 시렸던 계절이었을 것 입니다. 우리는 모두 기억해야 하고 잊지 말아야 합니다.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고 그저 지금 있는 그 곳에서는 따듯하고 행복하기를
-
2014년 4월 16일 그 때 전 아직 어린 아이였고 뉴스에서 세월호가 침몰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땐 세월호가 무엇인지, 침몰이 무슨 뜻인지 조차 몰랐었습니다. 하지만 지금은 알게 되었습니다. 잊지 않겠습니다. 기억하겠습니다. 이런 일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그 아팠던 시간들을 기억하겠습니다. 부디 그 곳에서라도 행복하세요. 작은 움직임이 큰 기적을.
-
2014년 04월 16일. 약 6년 전, 그 날의 일을 뉴스로 기사로 실시간으로 보던 게 생각이 납니다. 여전히 지금 생각해도 슬픈 그 일. 다시 한 번 잊지 않겠다는 각오를 하고 가겠습니다. 잊지 않겠습니다. 기억하겠습니다
-
벌써 6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. 더욱 더 잊지 말아야 합니다.꼭 기억해야만 합니다.잊혀지지 않기를
-
6년전의 시간은 누구에게는 행복이 누구에게는 기쁨이었을지는 몰라도 단 하나 잊지 말아야 할것은 그들을 기억하는 것 입니다.이렇게 1분1초를 이 세상에서 사는것을 당연시 여기던 그들 또한 불미의 사고로 인하여 부모의 곁을 떠나게 되었는데 우리는 그들을 위해서 우리나라를 위해서 하루하루를 소중이 여기고 항상 마음속에 그들을 두며 그들의 몫까지 열심히 이 세상을 살아가야 합니다.
-
벌써 세월호 일이 일어난지 6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네요....잊지 않겠습니다기억 하겠습니다
-
2014년 4월 16일 그날의 뉴스를 잊을 수 없습니다. 벌써 6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...절대 잊지 않겠습니다.기억 하겠습니다.
-
언니, 오빠들 나이를 지나오면서 느꼈어요. 수학여행 가는 일이 얼마나 설렜을지.그때 아무것도 하지 못해서 미안해요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미안해요이런 아픔 다시는 겪지 않도록 좋은 어른이 되고 싶어요. 그래도 힘든 일이 일어난다면 함께할게요.
-
2014년 4월 16일 뉴스를 보며 조마조마 했던 마음은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. 이 마음은 끝까지 잊지 않을 것입니다.
-
매년 돌아오는 4월 16일이 되면 항상 그 날의 눈물 속에 젖어있는 것 같습니다.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저는 고등학생이라면 어른인 줄 알았지만 막상 되어보니 너무나 어린아이라는걸 깨달았습니다. 절대 흐릿해져서는 안될 그 날을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. 간절한 마음으로 두 손에는 휴지를 꼭 잡고 전해지는 뉴스를 보면서 흘렸던 눈물이 헛되질 않길 기도합니다. 추운 바다속에서 지냈을 그들이 그곳에선 부디 가장 행복하길.진실이 떠오르는 그 날까지 평생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.
-
영화 속 수호 어머니께 안녕하세요. 저는 강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학생 입니다. 어머니께서 주인공으로 출현하신 `생일’이라는 영화를 본 후 이러한 편지를 남기게 되었습니다. 제가 `생일’이라는 영화를 보며 가장 놀랐던 점은 `과연 내가 이런 위로를 보내도 될까?‘ 하시며 배우님들께서 고민하셨다는 것입니다. 저는 지금까지 세월호를 추모하는 것은 당연하다고만 생각해 왔고, 제가 해도 되는지, 하면 안 되는지에 대해서는 고민해 보지 않았습니다. 하지만 이번 영상을 보며 ’위로를 보내는 것이 더 힘이 될 수 있겠구나‘하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. 그래서 저도 위로의 편지를 쓰게 되었습니다. 저는 평소에 뭐든지 함께 한다면 못할 것이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. 물론 함께 하는 그 속에서 한 사람, 한 사람의 역할도 중요하겠지만 힘들 때 의지할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면 더 잘 헤쳐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. 그렇기에 저는 세월호 사건도 모두가 함께한다면 극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. 저도 그 대열 속에 함께해 조금이나마 힘이 되어드리고 싶습니다. 수호 어머니께서도 혼자가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시고, 아픔을 견뎌 나가시길 바라는 마음입니다. 진심을 담아 편지를 보냅니다. 2020년 4월 20일 드림
-
시간이 지나고 세월이 흘러도 다시 돌아올 때까지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. 꼭 돌아오세요. 기다릴게요.
-
2014.04.16 그 날을 마음속에서 잊어버리지 않고 항상 생각하고 간직하겠습니다. 그 날의 아픔을 잊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-
분명 즐거워야만 했던 여행 길에서 다신 따스한 가족에게 돌아올 수 없게 된 순간, 그 누구보다 고통스러웠을 여러분을 우리는 잊지 못할 것입니다. 보고 싶을 것입니다. 보고 싶습니다
-
그 날 학원이 끝나고 집에 가 평소처럼 가방을 내려놓고 밥을 드시면서 티비 뉴스를 보고 계신 엄마, 아빠, 할머니께서 "너보다 언니, 오빠들이 수학여행을 갔다가 배가 가라 앉아서 큰 일 날 뻔 했는데 다 구조 됐대."라고 말 해주셔서 속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을 때 쯤 오보라는 얘기가 들려왔고 12살 어린 맘에도 당황스럽고 어떡하지라는 생각만 들었습니다.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월호라는 단어만 들으면 가슴이 먹먹해집니다. 평생 기억하겠습니다.